의회 및 상임위활동

갱년기여성 프로그램 착수발표회에 참석했습니다.

맛있는돌김 2011. 7. 29. 23:00

오늘(2011년 7월 29일) 오전 10시에 수원에 있는 여성비전센터에서 갱년기여성 프로그램 착수 발표회가 있었습니다.

 

갱년기여성 프로그램은 전적으로 저의 작품입니다.

 

작년 가을에 경기도의회에 들어간 후 처음 받는 업무보고에서 여성가족국 예산 편성 구조를 보고 깜짝 놀랐습니다. 여성가족 관련 사업 예산이 대체로 1조 5천억 원정도인데 그 중 1조 2천억 정도가 보육예산으로 잡혀 있고 그나마 나머지 3천억 정도도 거의가 다 젊은 여성들을 위한 예산으로 편성되어 있었습니다.

 

그리고 40대 이상의 여성들을 위한 예산은 거의 전무하다고 해도 과언이 아니었습니다. 기껏 억지로 포함시키자면 건강가정지원센턴 예산 정도이겠지요. 이 사업은 건강한 가정을 지키기 위해 건강상담과 교육, 이혼을 준비하는 부부들에게 결혼생활 상담 등을 통해 다시 화해를 하도록 유도하는 등의 사업을 하므로 4-50대여성들도 혜택을 볼 수 있는 사업입니다. 하지만 4-50대를 목표로 설정한 사업은 아닌 것이지요.

 

심지어 여성능력개발센터에서 시행하고 있는 평생교육 프로그램에 등록하고 있는 연령대를 분석해봐도 40대는 30대보다 적으며, 특히 50대 이상은 다른 연령대에 비해 현저하게 숫자가 적습니다.

 

아래는 여성능력개발센터에서 운영하는 온라인 교육과정 등록자 통계자료입니다.

 

경기도여성능력개발센터 온라인교육과정 여성이용자 연령대별 현황

1. 교육운영 기간 : 2010. 5. 01 ~ 2011. 4. 30 (1년간)

 

2. 온라인교육과정 성별 현황

구분

교육생수

여성

남성

합 계

249,349명

171,387명

(68.7%)

77,962명

(31.3%)

온라인경력개발센터

74,876명

63,340명

(84.6%)

11,536명

(15.4%)

평생학습e-러닝

174,473명

108,047명

(61.9%)

66,426명

(38.1%)

 

3. 온라인경력개발센터 연령대별 현황

구분

여성교육생수

20대 만

20대

30대

40대

50대

60대이상

온라인경력개발센터

63,340명

304명

(0.5%)

11,223명

(17.7%)

25,350명

(40.0%)

19,710명

(31.1%)

5,695명

(9.0%)

1,058명

(1.7%)

 

4. 평생학습 e-러닝 연령대별 현황

구분

여성교육생수

20대 미만

20대

30대

40대

50대

60대 이상

평생학습e-러닝

108,047명

2,421명

(2.2%)

18,865명

(17.5%)

36,601명

(33.9%)

34,710명

(32.1%)

13,062명

(12.1%)

2,388명

(2.2%)

 

5. 온라인경력개발센터 + 평생학습 e-러닝 연령대별 현황

구분

여성교육생수

20대 미만

20대

30대

40대

50대

60대 이상

평생학습e-러닝

108,047명

2,725명

(1.6%)

30,088명

(17.6%)

61,951명

(36.1%)

54,420명

(31.8%)

18,757명

(10.9%)

3,446명

(2.0%)

 

 

위의 표에서 보듯이 30대와 40대 사이에도 4.3% 정도 차이가 나는데 50대에 와서 현저하게 줄어드는 것으로 봐서 40대도 주로 초반에 집중되어 있을 것으로 짐작할 수 있습니다. 50대는 겨우 11% 정도에 불과하고 60대 이상은 2% 밖에 안 됩니다.

 

물론 5-60대와 그 이상이 이렇게 저조한 것은 이 세대가 컴맹 세대에 속하기 때문이기도 하겠지만 개설되는 프로그램이 대부분 젊은 층에 맞춰져있기 때문이기도 할 것입니다.

 

어디를 둘러보아도 50대 이상을 위한 프로그램과 사업은 희귀해서 그 때부터 계속 50대 이상을 위한 프로그램과 사업도 만들어서 시행할 것을 강력하게 촉구하기 시작했습니다. 젊었을 때, 아이 낳고 돈 잘 벌 때는 온갖 프로그램으로 지원하다가, 이제 출산도 중단하고 경제활동도 접고나면 모른채하고 내팽개쳐서는 안 된다고 말이지요. 특히 50대의 갱년기 장애는 젊었을 때 출산이라는, 인간에게 있어서 가장 중요한 기능을 수행하다가 그 기능이 문을 닫으면서 생기는 큰 부작용이므로 갱년기 여성에 대한 배려는 출산과 동급으로 주어져야 한다고 강력하게  주장했습니다.

 

국가 재정은 가능하면 보다 많은 사람들이 혜택을 입도록 집행되어야하고, 가급적이면 사회적 약자와 저소득자에게 혜택이 돌아가야 하고, 각 집단(연령별, 성별, 인종별 등 다양한 집단 항목) 내에서도 골고루 혜택이 돌아가도록 해야 합니다. 그런데 경기도에서 50대 이상 여성은 문자 그대로 유령이었습니다. 보이지 않는 집단이었던 것이지요. 영어로 말하자면 non-existent 입니다.

 

그렇게 열심히 주장해서 겨우 만든 것이 4천 만 원짜리 갱년기여성 프로그램이었습니다. 지난 4(혹은 5)월 추경예산편성 시에 여성비전센터에서 이 사업을 들고 왔던 것입니다. 그리고 우리 상임위에서 제가 강력하게 주장해서 예산을 통과시켰습니다.

 

그렇게 잡힌 사업을 오늘 착수발표회를 하게 된 것입니다.

 

사업은 아주대 여성 리더십 센터에 위탁을 주어서 시행하게 되었습니다. 즉, 이 사업은 갱년기 여성들을 어떻게 도와줄 것인지 사업의 모델을 개발하는 사업인 것이지요.

 

아주대 여성 리더십 센터 소장인 이선이 박사가 프레젠테이션을 했습니다. 4천 만원의 예산을 가지고 어떻게 이 사업 모델을 개발할 것인지 그 계획을 발표한 것입니다.

 

아래는 그 추진계획입니다.

 

 

- 2011년 경기도 갱년기 극복 프로그램 -

 

 

 

착수보고회 추진계획

 

 

‘경기도 갱년기 극복 프로그램’ 개발 및 시범운영, 시·군보급을 위한 위탁사업 운영관련 착수보고회 추진계획입니다.

 

 

개 요

 

일 시 : 2011. 7. 29(금) 10:00

장 소 : 경기도여성비전센터 213호

참 석 자 : 이용교 경기도여성비전센터소장 등 7명

연번

성 명

직 위

비 고

1

이용교

경기도여성비전센터 소장

2

이상성

여성가족평생교육위원회 위원

3

이금자

경기여성단체협의회장

4

조소영

강남대 사회복지전문대학원 교수

5

양정선

경기도 가족여성연구원 연구위원

6

민현주

경기대학교 직업학과 교수

7

엄정숙

팔달구 보건소장

 

 

시간계획

시 간

소요

시간

내 용

비 고

10:00 ~ 10:05

5

사업소개

경기도여성비전센터 소장

10:05 ~ 10:20

15

경과보고

아주대학교 여성리더십센터장

10:20 ~ 10:50

30

질의응답 및 의견제언

10:50 ~ 11:00

10

정리

 

 

 

사업 개요

 

사 업 명 : 갱년기 극복 프로그램 개발 및 시범운영

사업기간 : 2011. 6월 ~ 2011. 12월

소요예산 : 금40,000천원(민간위탁금)

위탁기관 : 아주대학교 여성리더십센터

내 용 : 갱년기 극복 프로그램 개발 및 시범운영/시군 보급

 

 

주요 내용

 

 

   프로그램 운영

 

대상자별(여성,남성,부부) 3회의 프로그램 운영

교육시간은 일하는 수강자를 고려하여 토요일 운영 제고

평일 운영시 일과 후 주중 2일 1시간 30분씩 3시간×4주

워크숍 1회 1박2일 동안 12시간 교육 진행

프로그램 운영자 메뉴얼을 제공

 

프로그램 특성

 

대상자의 특성 및 생활 조건에 부합

교육 후 자가에서 혼자 시행할 수 있는 프로그램

장소와 시간의 구애 최소화

향후 조직학습 및 동아리 활동

노년에 대비하며 난관에 대한 회복탄력성 높임

 

목표

 

스트레스 관리

대상자들의 셀프리더십 함양과 대화법

건강을 유지할 수 있는 식이와 조리법

아우토겐 트레이닝 등 이완을 통한 부교감 신경 활성화 프로그램

자율 훈련이 가능한 매뉴얼 제공

 

 

향후 일정

 

프로그램 개발 : 8월 ~ 9월

중간보고회 : 9월중

프로그램 홍보 및 시범 운영 : 10월 ~ 11월

최종보고회 : 12월중

 

이상과 같은 내용으로 갱년기여성 프로그램 착수발표회가 진행되었습니다.

여성비전센터는 도 의회에서도 한참 더 가야 합니다.

새벽 같이 나가서 겨우 시간을 맞출 수 있었습니다.

 

이 사업으로 인해서 경기도 갱년기 여성들의 삶이 조금이라도 나아지면 참 좋겠습니다.

사업 성과를 봐서 전 경기도로 확대해나갈 생각입니다.